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 파이썬 #Python #코딩 #리스트 #문제 #list #풀이 #예제
- 파이썬 #python #for #예제 #문제 #풀이 #기초 #코딩
- pythob
- 파이썬 #python #코딩 #for #tuple #튜플 #예제 #문제 #풀이 #기초
- 실습
- 초보
- PYTHON
- 파이썬 #python #for #예제 #문제 #풀이 #코딩 #공부
- 풀이
- DICTIONARY
- 파이썬
- python #파이썬 #분기문 #if #else #코딩 #초보 #개발 #예제 #문제 #풀이
- 파이썬 #python #코딩 #개발 #초보 #예제 #문제 #풀이
- 연산
- 예제
- 딕셔너리
- 정보처리기사 #개발자 #코딩 #자격증 #IT자격증 #프로그래밍 #초보 #공부 #시험 #일정 #2023년 #정처기 #시험정보
- 파이썬 #python #코딩 #초보 #예제 #문제풀이
- 파이썬 #python #코딩 #문제 #풀이 #예제
- SQLD #SQL #에스큐엘디 #에스큐엘 #자격증 #2023년 #시험일정 #시험준비 #일정 #SQL개발자 #개발 #코딩 #분석
- python #파이썬 #개발 #코딩 #초보 #예제 #문제 #풀이
- 기초
- 파이썬 #python #코딩 #for문 #for #이론
- list
- 파이썬 #리스트 #python #list #문제 #예제 #풀이
- 코딩
- python #파이썬 #코딩 #초보 #개발 #예제 #문제 #풀이 #리스트 #튜플
- 문제
- 파이썬 #python #기초 #코딩 #예제 #문제 #풀이 #공부 #초보 #개발
- python #파이썬 #코딩 #예제 #풀이
- Today
- Total
왕초보 코딩 개발 일지 블로그
05. 파이썬 튜플 (071 ~ 080) 본문
071
my_variable 이름의 비어있는 튜플을 만들라.
괄호는 튜플을 정의하는 기호입니다.
my_variable = ()
정말 튜플이 생성됐는지 확인해 봅시다. type() 함수는 변수에 바인딩된 데이터의 타입을 반환합니다.
>> print(type(my_variable))
<class 'tuple'>
072
2016년 11월 영화 예매 순위 기준 top3는 다음과 같다.
영화 제목을 movie_rank 이름의 튜플에 저장하라. (순위 정보는 저장하지 않는다.)
순위 | 영화 |
1 | 닥터 스트레인지 |
2 | 스플릿 |
3 | 럭키 |
movie_rank = ("닥터 스트레인지", "스플릿", "럭키")
073
숫자 1 이 저장된 튜플을 생성하라.
아래와 같이 괄호와 함께 하나의 정숫값을 저장하면 튜플이 정의 될 것같지만 그렇지 않습니다. type()을 출력해보면 파이썬은 튜플이 아닌 정수로 인식합니다.
>> my_tuple = (1)
>> type (my_tuple)
int
하나의 데이터가 저장되는 경우, 아래와 같이 '쉼표'를 입력해만 합니다.
my_tuple = (1, )
074
다음 코드를 실행해보고 오류가 발생하는 원인을 설명하라.
>> t = (1, 2, 3)
>> t[0] = 'a'
Traceback (most recent call last):
File "<pyshell#46>", line 1, in <module>
t[0] = 'a'
TypeError: 'tuple' object does not support item assignment
tuple은 원소(element)의 값을 변경할 수 없습니다.
075
아래와 같이 t에는 1, 2, 3, 4 데이터가 바인딩되어 있다. t가 바인딩하는 데이터 타입은 무엇인가?
t = 1, 2, 3, 4
원칙적으로 튜플은 괄호와 함께 데이터를 정의해야 하지만, 사용자 편의를 위해 괄호 없이도 동작합니다.
076
변수 t에는 아래와 같은 값이 저장되어 있다. 변수 t가 ('A', 'b', 'c') 튜플을 가리키도록 수정 하라.
t = ('a', 'b', 'c')
튜플의 값은 변경할 수 없기 때문에, 리스트와 달리 아래 코드는 동작하지 않습니다.
t[0] = 'A'
새로운 튜플을 만들고 t 라는 변수를 업데이트 해야 합니다. 기존의 튜플 ('a', 'b', 'c')은 자동으로 삭제됩니다.
t = ('A', 'b', 'c')
077
다음 튜플을 리스트로 변환하라.
interest = ('삼성전자', 'LG전자', 'SK Hynix')
data = list(interest)
078
다음 리스트를 튜플로 변경하라.
interest = ['삼성전자', 'LG전자', 'SK Hynix']
interest = ['삼성전자', 'LG전자', 'SK Hynix']
data = tuple(interest)
print (data)
079 튜플 언팩킹
다음 코드의 실행 결과를 예상하라.
temp = ('apple', 'banana', 'cake')
a, b, c = temp
print(a, b, c)
a, b, c 각 개별 변수에 튜플 내의 값인 사과, 바나나, 케이크를 할당한다.
apple banana cake
* tuple unpacking(튜플 언패킹)
파이썬에서 튜플을 이용해 함수나 메소드에서 여러 값을 반환하는 경우에 사용됩니다. 이때, 반환된 튜플의 각 요소를 개별 변수에 할당하는 것을 말합니다.
예를 들어, 다음과 같이 함수에서 두 개의 값을 튜플로 반환하는 경우:
def get_name_and_age():
return "John", 25
이 함수를 호출하여 반환된 튜플의 각 요소를 개별 변수에 할당하는 방법은 다음과 같습니다:
name, age = get_name_and_age()
이렇게 하면 name 변수에 "John"이, age 변수에 25가 할당됩니다.
이렇게 튜플의 각 요소를 개별 변수에 할당하는 것은 리스트, 세트 등 다른 iterable 객체에서도 사용될 수 있습니다.
* Iterable(이터러블) 객체는 파이썬에서 반복 가능한 객체를 의미합니다. 즉, for 반복문에서 사용할 수 있는 객체를 말합니다. 파이썬에서는 리스트, 튜플, 세트, 문자열, 딕셔너리 등이 iterable 객체입니다. 이러한 iterable 객체는 for 반복문에서 직접 사용할 수 있으며, 또한 iter() 함수를 이용해 iterator 객체로 변환할 수 있습니다. iterator 객체는 next() 함수를 이용해 원소를 하나씩 가져올 수 있습니다.
* def 예약어의 활용
def는 파이썬에서 함수를 정의할 때 사용하는 예약어(keyword)입니다.
def 예약어를 사용하여 함수를 정의하면 해당 함수를 호출하여 원하는 코드를 실행할 수 있습니다.
def 예약어를 사용하여 함수를 정의할 때는 다음과 같은 구조를 따릅니다:
def 함수이름(매개변수1, 매개변수2, ...):
함수의 기능을 구현한 코드
return 반환값
위 구조에서 함수이름은 함수의 이름을 지정하는 부분이며, 매개변수는 함수를 호출할 때 입력하는 값입니다. 함수의 기능을 구현한 코드는 : 뒤에 들여쓰기하여 작성합니다. return 예약어를 이용하여 함수가 반환하는 값을 지정할 수 있습니다.
간단한 예시로, 두 개의 숫자를 더하는 함수를 정의하는 코드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습니다:
def add_numbers(a, b):
result = a + b
return result
위 코드에서 add_numbers는 함수의 이름을 지정하고, a와 b는 매개변수입니다. 함수의 기능은 두 개의 매개변수를 더한 값을 반환하는 것입니다. 함수가 반환하는 값을 지정할 때는 return 예약어를 이용합니다.
이제 add_numbers 함수를 호출하여 값을 반환하는 코드를 살펴보겠습니다:
sum = add_numbers(3, 5)
print(sum) # 8 출력
위 코드에서 add_numbers 함수를 호출할 때는 매개변수로 3과 5를 입력하였고, 반환된 값인 8은 sum 변수에 할당되어 출력됩니다.
080 range 함수
1 부터 99까지의 정수 중 짝수만 저장된 튜플을 생성하라.
(2, 4, 6, 8 ... 98)
data = tuple(range(2, 100, 2))
print( data )
*100은 포함이되지 않는다. 99까지만 그 안에있는 숫자로 인식한다.
(2, 4, 6, 8, 10, 12, 14, 16, 18, 20, 22, 24, 26, 28, 30, 32, 34, 36, 38, 40, 42, 44, 46, 48, 50, 52, 54, 56, 58, 60, 62, 64, 66, 68, 70, 72, 74, 76, 78, 80, 82, 84, 86, 88, 90, 92, 94, 96, 98)
* range() 함수
파이썬에서 일정 범위의 숫자들을 생성하는 내장 함수입니다.
주로 for 반복문과 함께 사용되며, 반복횟수를 지정할 때도 자주 사용됩니다.
range() 함수의 기본적인 형태는 다음과 같습니다:
range(stop)
range(start, stop[, step])
- stop : 생성할 숫자들 중 마지막 숫자 (생략 불가능)
- start : 생성할 숫자들 중 첫번째 숫자 (생략 가능, 생략 시 0으로 간주)
- step : 생성할 숫자들의 간격 (생략 가능, 생략 시 1로 간주)
range() 함수는 인자로 받은 범위를 가지고, 해당 범위 내에 있는 숫자들을 생성합니다. 이렇게 생성된 숫자들은 기본적으로 range() 객체로 반환되며, 이 객체는 list() 함수나 for 반복문에서 사용할 수 있습니다.
간단한 예시로, range() 함수를 이용해 0부터 9까지의 숫자를 출력하는 코드를 작성해보겠습니다:
for num in range(10):
print(num)
0
1
2
3
4
5
6
7
8
9
위 코드에서 range(10)은 0부터 9까지의 숫자들을 생성하는 range() 객체를 반환합니다. for 반복문에서 num 변수에 해당 숫자를 할당하여 출력합니다.
range() 함수를 이용해 원하는 범위의 숫자들을 생성하고, 이를 이용해 다양한 작업을 수행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range() 함수를 이용해 주어진 범위 내의 숫자들을 더하는 코드를 작성하면 다음과 같습니다:
sum = 0
for num in range(1, 11):
sum += num
print(sum) # 55 출력
위 코드에서 range(1, 11)은 1부터 10까지의 숫자들을 생성하는 range() 객체를 반환합니다.
for 반복문에서 num 변수에 해당 숫자를 할당하고, sum 변수에 숫자들을 더합니다. 마지막으로 sum 변수에 저장된 값을 출력합니다.
range(1, 11)은 1부터 10까지의 숫자들을 생성하는 range() 객체를 반환합니다.
따라서 위 코드에서 for 반복문은 1부터 10까지의 숫자들을 하나씩 가져와서 sum 변수에 더하게 됩니다. 즉, sum 변수에는 1부터 10까지의 숫자를 모두 더한 값인 55가 저장되게 됩니다. 11은 범위에 포함되지 않기 때문에 더해지지 않습니다.
'Python 공부 > 파이썬 300제 풀이 연습' 카테고리의 다른 글
08. 파이썬 반복문 (141~150) (0) | 2023.04.11 |
---|---|
08. 파이썬 반복문 (131~140) (0) | 2023.04.11 |
04. 파이썬 리스트 (061 ~ 070) (0) | 2023.04.10 |
04. 파이썬 리스트 (051 ~ 060) (0) | 2023.04.10 |
07. 파이썬 분기문 (111~120) (0) | 2023.04.07 |